https://www.acmicpc.net/problem/12852
12852번: 1로 만들기 2
첫째 줄에 1보다 크거나 같고, 106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N이 주어진다.
www.acmicpc.net
'''
2or3으로 나눠떨어지면 2or3으로 나눔
1을 뺌
최소 연산 횟수
1로 만드는 과정 공백으로 구분해서 순서대로 출력
'''
n = int(input())
dp = [0] * (n+1) # 각 숫자까지의 최소 연산 횟수 저장
prev = [0] * (n+1) # 직전 숫자들 저장(경로 추적용)
for i in range(2, n+1):
dp[i] = dp[i-1] + 1 # 1을 뺀 경우가 기본값
prev[i] = i - 1
if i % 2 == 0 and dp[i//2] + 1 < dp[i]: # 2의 배수고, 현재의 최소 연산 횟수보다 작으면 갱신
dp[i] = dp[i//2] + 1
prev[i] = i // 2
if i % 3 == 0 and dp[i//3] + 1 < dp[i]: # 3의 배수고, 현재의 최소 연산 횟수보다 작으면 갱신
dp[i] = dp[i//3] + 1
prev[i] = i // 3
print(dp[n]) # n까지의 최소 연산 횟수 출력
# 경로 복원
path = []
while n:
path.append(n)
n = prev[n]
print(*path)
다른 풀이들과 비교해봤을 때 메모리는 적게 차지하지만 속도는 느린 편인 것 같다...
위에서 기본적으로 전 숫자에서 1을 뺀 경우를 기본값으로 설정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 모든 자연수에 대해 1을 빼는 연산은 항상 가능! -> 최소 한 가지 유효한 연산을 갖고 시작
-> 2나 3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을 경우 따로 처리할 것 없이 되니까 간단해지는 것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1659. 구간 합 구하기4 (0) | 2024.03.12 |
---|---|
백준 5635. 생일 (0) | 2024.03.11 |
백준 11726. 2xn 타일링 (0) | 2024.03.10 |
백준 1149. RGB거리 (0) | 2024.03.10 |
백준 2579. 계단 오르기 (0) | 2024.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