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워두면 좋은 HTTP 상태 코드 정리
·
Cs
❓ HTTP 상태 코드- HTTP 상태코드는 서버가 클라이언트(브라우저)의 요청에 대한 응답 상태를 나타내는 3자리 숫자를 말한다. 이 코드를 통해 요청이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 추가 조치가 필요한지 등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활용된다.▶ 기본 사용 예시fetch('https://api.example.com/data') .then(response => { if (response.status === 200) { return response.json(); } else if (response.status === 404) { throw new Error('데이터를 찾을 수 없습니다'); } else if (re..
SSG 파헤치기(+ISR)
·
Cs
SSG는 웹 개발 렌더링 방식 중 하나로, 빌드 타임에 모든 페이지 콘텐츠를 미리 생성하여 정적 HTML 파일로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 방식은 페이지 요청마다 서버에서 렌더링하는 SSR과 달리, 배포 전에 모든 페이지를 준비해두어 빠른 로딩 속도와 우수한 SEO 효과를 제공한다. SSG는 특히 콘텐츠가 자주 변경되지 않는 웹사이트에 적합한 기술이다.❓ 정의- SSG는 애플리케이션을 서버에 배포하기 전 빌드 시점에 모든 페이지의 HTML을 미리 생성하는 렌더링 기법이다. - 빌드 타임에 리액트 코드를 HTML로 변환하여 정적 파일을 생성하므로, 사용자가 요청할 때 미리 준비된 HTML을 즉시 제공할 수 있다. - 서버는 빌드 과정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모두 가져와 페이지를 렌더링하고, 이를 정적 파일로 저장..
JWT access Token, 어디에 저장하는 것이 좋을까?
·
Cs
❓ JWT access Token- JWT Access Token은 사용자가 인증된 상태를 유지하고,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안전하게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토큰은 API 요청 시 Authorization 헤더에 포함되어 서버에서 인증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기본 사용 예시1. 사용자가 로그인하면 서버에서 Access Token과 Refresh Token을 발급2. 클라이언트는 Access Token을 저장하여 이후 API 요청 시 사용3. Access Token이 만료되면 Refresh Token을 사용해 새로운 Access Token을 발급❗ 사용이유✅ Stateless 인증- Access Token은 서버가 상태를 저장하지 않아도 인증을 처리할 수 있어 확장성이 뛰어나다.✅ 빠른 검..
5. 알고리즘
·
Cs
1️⃣ 버블 정렬- 양옆에 위치한 두 값을 비교하면서 크기 순으로 정렬- 뒤에서부터 정렬됨- 별도의 메모리 공간이 필요하지 않지만, 시간복잡도가 O(n²) 2️⃣ 선택 정렬- 배열을 순회하면서 배열의 앞에서부터 차례대로 각 인덱스에 들어갈 값(오름차순이면 최솟값)을 선택해 위치시킴- 구현이 간단하고 별도의 메모리 공간이 필요하지 않지만, 시간복잡도가 O(n²) 3️⃣ 삽입 정렬- 배열을 앞에서부터 순회하면서 정렬된 부분의 적절한 위치에 값을 삽입하는 방식- 시간복잡도는 O(n²)  4️⃣ 합병 정렬- 재귀를 이용하는 분할(배열을 쪼개는 것)정복(분할한 배열을 정렬하면서 하나로 합병하는 것) 알고리즘- 시간 복잡도는 O(nlogn)5️⃣ 퀵 정렬- 합병 정렬과 마찬가지로 분할 정복 알고리즘- 배열에서 피봇..
4. 자료구조
·
Cs
1️⃣ 복잡도- 시간 복잡도: 알고리즘의 실행 시간을 정량화하는 것- 공간 복잡도: 알고리즘 실행시 필요한 메모리 사용량을 정량화하는 것- 빅오 표기법: 입력 값에 대한 수식에서 최고차항을 기준으로 알고리즘이 수행되는 최악의 시간 복잡도를 표현2️⃣선형 자료구조와 비선형 자료구조의 차이- 선형 자료구조: 연속적으로 데이터가 나열되는 자료구조. 1:1 연결- 비선형 자료구조: 하나의 데이터 뒤에 n개의 데이터가 이어질 수 있는 자료구조. 1:N, N:N 연결3️⃣ 선형 자료구조 - 배열- 정해진 크기만큼 데이터가 일렬로 저장되는 정적 자료구조- 요소: 배열의 각 데이터 / 인덱스: 데이터를 가리키는 번호- 시간 복잡도  (1) 검색: O(n)  (2) 삽입: O(n) (but 여유공간이 있고, 맨 마지막 ..
3. 데이터베이스
·
Cs
1️⃣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요소    (1) 개체(엔터티): 데이터로 표현하려는 대상. 하나 이상의 속성으로 구성됨    (2) 속성: 개체의 특성과 상태를 나타냄.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    (3) 관계: 개체 간에 어떤 관련이 있는지 나타냄- 스키마: 데이터의 구조와 표현 방식, 제약 조건을 정의    (1) 내부 스키마: 사용자 측면에서 데이터베이스의 전체 구조    (2) 개념 스키마: 데이터베이스의 전체 구조    (3) 외부 스키마: 물리적 저장장치 측면에서 데이터베이스의 전체 구조2️⃣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 데이터가 2차원 테이블에 저장되며 데이터의 구조와 데이터 간 종속성 등을 알 수 있음- 스키마(ERD, 개체-관계 다이어그램)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