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
Cs
❓IP(Internet Protocol)- 인터넷에서 통신을 위한 핵심 프로토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전송하는 방법을 정의하며, 인터넷상에서 컴퓨터와 다른 네트워크 장치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함- 지정한 IP 주소에 패킷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게 하는 것이 IP의 역할❔IP 프로토콜의 한계점- 비연결성: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거나 서비스 불능 상태여도 패킷을 전송- 비신뢰성: 중간에 패킷이 사라져도 IP 프로토콜에서 전송하는 데이터가 정확하게 갔는지 확인하지 않음 + 보낸 순서와 받는 순서가 다를 수 있음- 구분 문제: 같은 IP를 사용하는 서버에서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여러개일 경우 구분이 어려움❓IP 주소- 인터넷에 연결하는 장치나 도메인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 ex) 19..
HTTP
·
Cs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통신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 사용자가 웹 사이트를 방문하면 사용자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HTTP 요청을 전송하고 웹 서버는 HTTP 응답으로 응답❔HTTP/1.1/2/3- 최초의 HTTP 버전이 HTTP/1.1이고 HTTP/2와 HTTP/3은 프로토콜 자체를 업그레이드한 버전 ->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수정하며 효율성 개선!❓HTTP 메소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전송하는 요청의 종류를 정의한 것GET: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요청   요청 데이터는 URL 쿼리 문자열에 포함POST:   서버에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 or 기존 데이터를 업데이트   요청 데이터는 HTTP 메시지 본문에 포함   서버 상태를 변경할 ..
DOM
·
Cs
🔷DOM(Document Object Model) 웹 문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웹 페이지의 모든 요소(HTML 태그)를 객체로 표현하고, 이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냄 🔶DOM의 핵심 - 트리 구조: DOM은 문서를 노드(node)의 계층적 트리로 표현. 이 트리는 문서의 구조, 스타일, 내용 등을 포함. 트리의 각 노드는 문서의 한 부분(요소, 속성, 텍스트 등)을 나타냄 - 노드(Node): DOM 트리의 기본 단위. ex) 요소 노드(Element Node), 텍스트 노드(Text Node), 속성 노드(Attribute Node) - 요소(Element): HTML 태그와 태그 사이의 내용을 포함하는 노드. ex) , , - 조작: JavaScript를 사용하여 DOM 요소를 동적으로 추가,..
OAuth 2.0
·
Cs
OAuth 2.0(Open Authorization)? - 인터넷 사용자들이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고 다른 웹사이트 상의 자신들의 정보에 대해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공통적인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접근 위임을 위한 개방형 표준 - 구글, 페이스북, 카카오, 네이버 등에서 제공하는 간편 로그인 기능이 해당 프로토콜 기반 주요 용어 Authentication 인증, 접근 자격이 있는지 검증하는 단계 Authorization 인가, 자원에 접근할 권한을 부여. 인가가 완료되면 리소스 접근 권한이 담긴 Access Token이 클라이언트에게 부여됨. Access Token 리소스 서버에게서 리소스 소유자의 보호된 자원을 획득할 때 사용되는 만료 기간이 있는 Token. Ref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