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존성 배열 없이 useEffect 사용
-> useEffect 내부의 콜백 함수는 컴포넌트가 렌더링될 때마다 실행됨!
= 컴포넌트가 처음 마운트 될 때뿐만 아니라, 컴포넌트가 업데이트 될 때마다 useEffect가 호출되는 것!
useEffect(() => {
console.log('컴포넌트가 렌더링될 때마다 호출');
});
빈 의존성 배열을 사용한 useEffect 사용
-> useEffect 내부의 콜백 함수는 컴포넌트가 처음 마운트될 때 딱 한 번만 실행됨!
-> 컴포넌트가 다시 렌더링되어도, useEffect는 다시 실행되지 않음!
useEffect(() => {
console.log('컴포넌트가 처음 마운트될 때만 호출');
}, []);
의존성 배열에 변수를 포함시킨 경우
-> 해당 변수가 변경될 때마다 useEffect 내부의 콜백 함수가 실행됨!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useEffect(() => {
// count가 변경될 때마다 호출됨
console.log(`Count가 ${count}로 변경되었습니다.`);
}, [count]); // 의존성 배열에 count를 포함시킴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useCallback (0) | 2025.03.27 |
---|---|
[React-Query]prefetchQuery (0) | 2025.02.25 |
useRef (0) | 2024.03.10 |
React Query (0) | 2024.03.03 |
리액트 개념 공부 (0) | 2024.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