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2024. 6. 11. 14:25·Cs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통신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

- 사용자가 웹 사이트를 방문하면 사용자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HTTP 요청을 전송하고 웹 서버는 HTTP 응답으로 응답

❔HTTP/1.1/2/3

- 최초의 HTTP 버전이 HTTP/1.1이고 HTTP/2와 HTTP/3은 프로토콜 자체를 업그레이드한 버전 ->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수정하며 효율성 개선!

❓HTTP 메소드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전송하는 요청의 종류를 정의한 것

  1. GET:
    •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요청
    •    요청 데이터는 URL 쿼리 문자열에 포함
  2. POST:
    •    서버에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 or 기존 데이터를 업데이트
    •    요청 데이터는 HTTP 메시지 본문에 포함
    •    서버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요청에 사용됨
  3. PUT:
    •    서버에 있는 데이터를 대체하거나 업데이트
    •    POST와 유사하지만, PUT은 데이터의 전체 내용을 대체
  4. DELETE:
    •    서버에 있는 데이터를 삭제
  5. PATCH:
    •    데이터의 부분적인 업데이트
    •    PUT과 달리 데이터의 전체 내용을 대체하지 않음

❔GET보다 POST가 보안 측면에서 더 좋다?

- URL에 데이터의 정보가 들어있지 않아 더 안전함!

❔POST보다 GET이 속도가 더 빠르다?

- GET은 캐싱을 하기 때문에 더 빠를 수 있음!

❓ HTTP STATUS CODE

-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요청 처리 결과를 알려주는 상태 코드

1XX 정보 응답
2XX 성공
3XX 리디렉션
4XX 클라이언트 오류
5XX 서버 오류

❓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 HTTP의 확장 버전 또는 더 안전한 버전

- HTTPS에서는 브라우저와 서버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안전하고 암호화된 연결을 설정

❔HTTP와의 차이

1. 보안

- HTTP 메세지는 일반 텍스트이므로 권한이 없는 당사자가 인터넷을 통해 쉽게 엑세스하고 읽을 수 있지만, HTTPS는 모든 데이터를 암호화된 형태로 전송하므로 제3자가 데이터를 가로챌 수 없음.

- HTTPS에서는 HTTP 요청 및 응답을 추가로 암호화하기 위해 SSL/TLS와 함께 HTTP/2 사용

2. 권위

- 검색 엔진은 HTTP의 신뢰성이 더 낮기 때문에 보통 HTTP 웹 사이트 콘텐츠의 순위를 HTTPS 웹 페이지보다 낮게 지정

3. 성능

- HTTPS 웹 애플리케이션은 HTTP 애플리케이션보다 로드 속도가 더 빠름

❔SSL/TLS 인증서

- 시스템에서 ID를 확인하고 이후에 Secure Sockets Layer/전송 계층 보안(SSL/TL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다른 시스템에 대한 암호화된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객체

❔ 보안을 위해 고려해야 할 HTTP 관련 사항

1. HTTPS 사용

- HTTPS는 SSL/TLS 암호화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안전하게 보호

2.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 정책 설정

- CORS 정책은 브라우저에서 다른 출처의 리소스 접근을 제한하여 보안을 강화함.  허용된 출처, 메서드, 헤더 등을 명시적으로 설정해야 함

3. HTTP 보안 헤더 관리

- HTTPS 사용을 강제하거나 콘텐츠 소스의 허용 범위를 제한하는 등의 방법으로 외부로부터의 공격을 방지

⭕ 모든 최신 웹 사이트는 HTTPS 라고 볼 수 있다 !

[면접 예상 질문]

1. HTTP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2. HTTP 메소드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3. GET과 POST의 차이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4. HTTP status code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5. HTTP와 HTTPS의 차이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6. 웹 애플리케이션의 보안을 위해 고려해야 할 HTTP 관련 사항은 무엇인가요?


출처:
https://aws.amazon.com/ko/compare/the-difference-between-https-and-http/

https://www.cloudflare.com/ko-kr/learning/ddos/glossary/hypertext-transfer-protocol-http/

https://velog.io/@haron/HTTP-%EB%A9%94%EC%84%9C%EB%93%9C%EC%97%90-%EB%8C%80%ED%95%B4-%EC%95%84%EB%8A%94%EB%8C%80%EB%A1%9C-%EB%A7%90%ED%95%B4%EC%A3%BC%EC%84%B8%EC%9A%94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GET과 POST의 차이  (0) 2024.10.15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차이  (0) 2024.06.11
IP  (0) 2024.06.11
DOM  (0) 2024.03.10
OAuth 2.0  (0) 2024.01.18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차이
  • IP
  • DOM
  • OAuth 2.0
버그잡는고양이발
버그잡는고양이발
주니어 개발자입니다!
  • 버그잡는고양이발
    지극히평범한개발블로그
    버그잡는고양이발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382)
      • React (16)
      • Next.js (5)
      • Javascript (5)
      • Typescript (4)
      • Node.js (2)
      • Cs (16)
      • 트러블 슈팅 (5)
      • Html (1)
      • Css (3)
      • Django (0)
      • vue (0)
      • Java (2)
      • Python (0)
      • 독서 (1)
      • 기타 (3)
      • 백준 (192)
      • swea (31)
      • 프로그래머스 (30)
      • 이코테 (4)
      • 99클럽 코테 스터디 (30)
      • ssafy (31)
      • IT기사 (1)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인기 글

  • 태그

    항해99
    개발자취업
    코딩테스트준비
    99클럽
    Til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버그잡는고양이발
HTTP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