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학습 키워드 : 센서(백준 #2212)
문제
한국도로공사는 고속도로의 유비쿼터스화를 위해 고속도로 위에 N개의 센서를 설치하였다. 문제는 이 센서들이 수집한 자료들을 모으고 분석할 몇 개의 집중국을 세우는 일인데, 예산상의 문제로, 고속도로 위에 최대 K개의 집중국을 세울 수 있다고 한다.
각 집중국은 센서의 수신 가능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집중국의 수신 가능 영역은 고속도로 상에서 연결된 구간으로 나타나게 된다. N개의 센서가 적어도 하나의 집중국과는 통신이 가능해야 하며, 집중국의 유지비 문제로 인해 각 집중국의 수신 가능 영역의 길이의 합을 최소화해야 한다.
편의를 위해 고속도로는 평면상의 직선이라고 가정하고, 센서들은 이 직선 위의 한 기점인 원점으로부터의 정수 거리의 위치에 놓여 있다고 하자. 따라서, 각 센서의 좌표는 정수 하나로 표현된다. 이 상황에서 각 집중국의 수신 가능영역의 거리의 합의 최솟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집중국의 수신 가능영역의 길이는 0 이상이며 모든 센서의 좌표가 다를 필요는 없다.
입력
첫째 줄에 센서의 개수 N(1 ≤ N ≤ 10,000), 둘째 줄에 집중국의 개수 K(1 ≤ K ≤ 1000)가 주어진다. 셋째 줄에는 N개의 센서의 좌표가 한 개의 정수로 N개 주어진다. 각 좌표 사이에는 빈 칸이 하나 있으며, 좌표의 절댓값은 1,000,000 이하이다.
출력
첫째 줄에 문제에서 설명한 최대 K개의 집중국의 수신 가능 영역의 길이의 합의 최솟값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6
2
1 6 9 3 6 7
예제 출력 1
5
예제 입력 2
10
5
20 3 14 6 7 8 18 10 12 15
예제 출력 2
7
정답 코드
n = int(input()) # 센서의 개수
k = int(input()) # 집중국의 개수
dis = list(map(int,input().split())) # 센서의 좌표들, 중복o
dis.sort() # 오름차순 저장
d = [] # 좌표들간의 거리 저장
for i in range(n-1):
d.append(abs(dis[i]-dis[i+1]))
d.sort() # 좌표들간의 거리 오름차순 저장
print(sum(d[:n-k])) # k개를 설치하려면 거리들 중 k-1개를 빼고 더하면 정답! n-1-(k-1) = n-k
❇️오늘의 회고
- k개의 집중국을 설치하려면 n-1 개의 거리들 중 가장 긴 거리부터 k-1개를 빼고 나머지를 더하면 최소비용이 나온다.
- 나는 아직 미들러인가보다... 🤣 그래도 챌린저 문제 많이 도전해보고 싶다.
- 내일 11시, 문제를 풀기 전에 위 문제를 한번 더 복습하고 내일 문제에 사용된 알고리즘에 대해서 공부할 것이다!🙂
'99클럽 코테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99클럽 코테 스터디 20일차 TIL - 소트(백준 #1083) (0) | 2024.11.16 |
---|---|
99클럽 코테 스터디 19일차 TIL - 소용돌이 예쁘게 출력하기(백준 #1022) (3) | 2024.11.15 |
99클럽 코테 스터디 17일차 TIL - 작업(백준 #2056) (2) | 2024.11.13 |
99클럽 코테 스터디 16일차 TIL - 비슷한 단어(백준 #2179) (4) | 2024.11.12 |
99클럽 코테 스터디 15일차 TIL - 미로만들기(백준 #2665) (2) | 2024.11.12 |